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23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덤프버전 : (♥ 0)

1. 개요
2. 예선
2.1. 일반조
2.1.1. 1회전
2.1.2. 2회전[1]
2.1.2.1. 전반조(7월 3일)
2.1.2.2. 후반조(7월 4일)
2.1.3. 3회전
2.1.4. 예선준결
2.1.5. 예선결승
2.2. 시니어조
2.2.1. 1회전
2.2.2. 2회전
2.2.3. 3회전
2.2.4. 예선준결
2.2.5. 예선결승
2.3. 월드조
2.3.1. 1회전 : 7월 3일
2.3.2. 2회전 : 7월 4일
2.3.3. 예선준결 : 7월 5일
2.3.4. 예선결승
2.4. 여자조
2.4.1. 1회전
2.4.2. 2회전
2.4.3. 3회전
2.4.4. 4회전
2.4.5. 예선 결승
2.5. 본선 진출 선수
3. 본선
3.1. 32강
3.1.1. 1회전
3.1.2. 2회전
3.1.2.1. 승자조
3.1.2.2. 패자조
3.1.3. 3회전 (패자부활전)
3.1.4. 16강 진출 선수
3.2. 16강
3.3. 8강
3.4. 준결승
3.5. 결승


1. 개요[편집]


23회차에 접어드는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일람이다.


2. 예선[편집]


외국바둑협회의 명단 제출이 늦게 돼 대진표 구성이 지연되었었다.
지나치게 길어진 경우 세부 문서로 옮겨 작성하거나 하길 바람.

  • 1회전 개시일자 : 7월 2일
    • 바둑TV스튜디오 in 구링이 - 김명훈(H조) / 김채영 - 리허(R조)
    • K바둑은 6일 대국 이전에 실시되는 예선 라운드의 중계를 모두 포기했다.
    • 사이버오로 중계 : 진시영-타오신란(K조) / 김진휘-펑리야오(M조) / 정대상-고마츠 히데키(P조)
    • 타이젬 중계 : (바둑TV 중계대국들과 사이버오로의 중계대국들을 같이 함)

  • 2회전 전반조(일반조 한정. 나머지 조는 통합2회전) : 7월 3일
    • 바둑TV스튜디오 in 조한승-저우루이양(D조) / 한승주-이치리키 료(G조)
    • 사이버오로 중계 : 퉈자시-박현수(C조) / 정서준-장웨이제(E조) / 중원징-원성진(F조-1) / 랴오위안허-박준석(F조-2)
    • 타이젬 중계 : (바둑TV 중계대국들과 사이버오로의 중계대국들을 같이 함)
    • 월드조는 이 날부터 열리며 라운드별 일자 개별 표기

  • 2회전 후반조(일반조 한정) : 7월 4일
    • 바둑TV스튜디오 in 미위팅-송지훈(H조) / 한태희-황윈쑹(I조)
    • 사이버오로 중계 : 이마분(일본)-이지현(J조) / 심재익-김은지(I조) / 구링이-송상훈(H조) / 판윈뤄-김현찬(N조)
    • 타이젬 중계 : (바둑TV 중계대국들과 사이버오로의 중계대국들을 같이 함. 단 이마분-이지현 / 심재익-김은지 대국 제외)

  • 3회전(이후 통합) : 7월 5일
    • 바둑TV스튜디오 in 당이페이-윤준상(B조) / 원성진-스웨(F조)
    • 사이버오로 중계 : 박영훈-임진욱A(C조) / 멍타이링-신민준(I조) / 류시훈(일본)-김동면(P조) / 후지사와 리나-조혜연(S조)
    • 타이젬 중계 : (바둑TV 중계대국들과 사이버오로의 중계대국들을 같이 함.)

  • 통합 예선준결 : 7월 6일(월드조 마지막날)
    • 바둑TV스튜디오 in 양카이원-신민준(I조) / 천야오예-이지현(J조)
    • K바둑 in 쉬자양-이동훈(N조) / 후지사와 리나-오정아(S조)
    • 사이버오로 중계 : 이영구-이링타오(G조) / 최철한-룽이(K조) / 쉬자양-이동훈(N조) / 후지사와 리나-오정아(S조)
    • 타이젬 중계 : (바둑TV 중계대국들과 사이버오로의 중계대국들을 같이 함.)

  • 통합 예선결승 : 7월 7일
    • 바둑TV스튜디오 in 강동윤-리쉬안하오(M조) / 이동훈-판윈뤄(N조)
    • K바둑 in 박진솔-양딩신(B조) / 신민준-황윈쑹(I조)
    • 사이버오로 중계 : 박진솔-양딩신(B조) / 신민준-황윈쑹(I조) / 타오신란-최철한(K조) / 오정아-최정(S조)
    • 타이젬 중계 : (바둑TV 중계대국들과 사이버오로의 중계대국들을 같이 함.)

2.1. 일반조[편집]



2.1.1. 1회전[편집]


진출자 및 탈락자 개별표기. 또는 탈락자 취소선 처리.

A~B
탈락자홍성지허진김동우엄동건A윤예성강우혁
진출자류싱자오천위최원진A우포이[2]모토키김형우

C~D
탈락자츠지시게[3]김형환고마츠 다이키[4]박종욱A사카이샤천쿤
진출자퉈자시라이쥔푸박영훈신윤호조한승김성진

E~G
탈락자위태웅딩스슝홍기표루이취엔장건현차부일선승민김기원최광호
진출자샤오정하오최영찬허양황밍위랴오위안허중원징우츠미롄샤오한승주

H~I
탈락자젠징팅이현준김명훈이다 아츠시류위항(二段)이주형
진출자미위팅우광야구링이판팅위황윈쑹한이저우

J~K
탈락자안형준린리샹유재호진시영전용수이상훈小김세동
진출자이재성A판인이지현타오신란김정훈A리웨이룽이

L~N
탈락자김대용문종호천한치오장욱펑리야오박지웅A아키야마김명완박대영배준희뉴스터(대만)이호승[5]
진출자히로세린옌청박하민송규상김진휘장치룬셰커리쉬안하오윤혁리위앙홍민표김현찬


2.1.2. 2회전[6][편집]



2.1.2.1. 전반조(7월 3일)[편집]

A조
류싱차이텅웨이천샤오촨시다 아츠시양우석박영롱오니시(三段)탄샤오자오천위친웨신한상조박경근최원진A허영호송태곤김기용
B조
우바이이[7]당이페이주형욱윤준상이승준안조영박진솔천치루이모토키박종훈최재영린쥔옌김형우이연양딩신최원용
C조
퉈자시박현수장타오왕위안쥔리쩌루이천쯔젠김영삼윤찬희라이쥔푸이용수랴오싱원김희수박영훈박시열임진욱A옥득진
D조
신윤호설현준션페이란왕즈홍하라문지환최기훈류민형조한승저우루이양이현호리샹위김성진이현욱쉬하오훙박진영
E조
샤오정하오박상진사토 유타나현양이장리요코츠카한상훈최영찬강창배장웨이제정서준허양궈신이한종진김유환A
F조
황밍위박재근조완규A류위항(初段)이형진무라카와이원영니시다케[8]랴오위안허박준석이춘규차오샤오양중원징원성진쑨텅위스웨
G조
우츠미이영구유창주박정상온소진천위농최명훈이링타오롄샤오조경호황스위안김상천A한승주이치리키 료이원도한웅규


2.1.2.2. 후반조(7월 4일)[편집]

H조
미위팅송지훈무츠우라 유타왕싱하오마오루이퉁[9]초토쿠구리김영도우광야서중휘황이중강지훈A구링이송상훈현유빈리웨이칭
I조
판팅위양카이원김민석궈원차오멍타이링윤현빈린포위신민준황윈쑹한태희김은지(유스)A[10]심재익한이저우누마다테 사키야저우허시류시
J조
이재성A윤민중문유빈간스양강승민옌환천하오박건호판인김선기천야오예김경환이지현이마분(일본)전영규정쉬
K조
타오신란문민종최홍윤이창호김정훈A안정기시다 다츠야후위한리웨이김기범최철한이성재룽이강훈小쩡위안하이청자예
L조
히로세인쑹타오윤성식A리저린옌청변상일강지범권효진(남)박하민황진형리친청오병우송규상류동완이재웅이창석
M조
김진휘강동윤박정수이상헌장치룬박민규투샤오위류수항셰커왕타오황신장창리쉬안하오백홍석유병용린스쉰
N조
윤혁쉬자양조인선김누리리위앙이동훈김지우마광쯔홍민표쉐관화(중국)김지명딩하오김현찬판윈뤄천하오신아다치


2.1.3. 3회전[편집]


A조
류싱천샤오촨박영롱탄샤오자오천위한상조최원진A송태곤
B조
당이페이윤준상이승준박진솔박종훈린쥔옌김형우양딩신
C조
박현수장타오천쯔젠윤찬희이용수김희수박영훈임진욱A
D조
설현준션페이란하라최기훈저우루이양리샹위김성진박진영
E조
박상진나현장리한상훈최영찬장웨이제허양한종진
F조
박재근류위항(初段)이형진이원영박준석차오샤오양원성진스웨
G조
이영구박정상온소진이링타오롄샤오황스위안한승주이원도
H조
미위팅왕싱하오마오루이퉁[9]구리우광야강지훈A구링이리웨이칭
I조
양카이원궈원차오멍타이링신민준황윈쑹심재익한이저우저우허시
J조
윤민중문유빈강승민천하오판인천야오예이지현정쉬
K조
타오신란이창호안정기후위한김기범최철한룽이청자예
L조
인쑹타오윤성식A변상일강지범박하민리친청송규상이창석
M조
강동윤이상헌장치룬류수항셰커장창리쉬안하오린스쉰
N조
쉬자양조인선이동훈김지우쉐관화(중국)딩하오판윈뤄아다치


2.1.4. 예선준결[편집]


A조/B조
류싱탄샤오자오천위송태곤당이페이박진솔박종훈양딩신
C조/D조
장타오천쯔젠김희수박영훈션페이란하라리샹위김성진
E조/F조
나현장리장웨이제허양박재근이원영차오샤오양스웨
G조/H조
이영구이링타오롄샤오한승주미위팅구리우광야리웨이칭
I조/J조
양카이원신민준황윈쑹한이저우문유빈강승민천야오예이지현
K조/L조
타오신란후위한최철한룽이윤성식A변상일박하민송규상
M조/N조
강동윤장치룬셰커리쉬안하오쉬자양이동훈딩하오판윈뤄


2.1.5. 예선결승[편집]


A~D조
탄샤오자오천위박진솔양딩신천쯔젠김희수하라리샹위
E조~H조
나현허양이원영스웨이링타오롄샤오미위팅우광야
I조~L조
신민준황윈쑹강승민천야오예타오신란최철한윤성식A송규상

M조~N조
강동윤리쉬안하오이동훈판윈뤄

A, D, G, H조는 결국 타 국가 국적의 기사의 차지가 되었다. 그대신 L조는 프로-아마 대국이긴 하지만 한국선수 차지.
문제는 그 결과다(...)

진출자A조탄샤오(中)
B조양딩신(中)
C조천쯔젠(中)
D조리샹위(中)
E조나현(韓)
F조스웨(中)
G조롄샤오(中)
H조우광야(中)
I조신민준(韓)
J조천야오예(中)
K조타오신란(中)
L조윤성식A(韓)
M조리쉬안하오(中)
N조판윈뤄(中)
일반조에 한국선수 3명만 본선에 진출하게 됐다(...)

2.2. 시니어조[편집]



2.2.1. 1회전[편집]


O조와 P조로 구성되어 있다.
O조
탈락자오야 고이치정수현김철중이시다
진출자김수장장수영차수권박승문
P조
탈락자정대상서능욱고재희김성래
진출자고마츠 히데키김영환한철균박영찬

  • 무효선수 : 허장회(은퇴 선수) - 팡제 선수 2회전으로 이동 처리


2.2.2. 2회전[편집]


O조
김수장김승준팡제황원준장수영강훈서봉수김종수차수권나카네안관욱나종훈박승문윤종섭김준영문명근
P조
고마츠 히데키김일환백성호고토 슌고김영환류시훈(일본)김덕규김동면한철균김기헌최규병박진열박영찬한상렬위빈조대현


2.2.3. 3회전[편집]


O조
김승준팡제장수영서봉수차수권안관욱박승문김준영
P조
고마츠 히데키백성호류시훈(일본)김동면김기헌최규병박영찬위빈


2.2.4. 예선준결[편집]


전체 조
김승준서봉수안관욱박승문고마츠 히데키류시훈(일본)최규병위빈


2.2.5. 예선결승[편집]


O조
서봉수안관욱
P조
류시훈(일본)위빈
시니어 부문에서는 결국 O조는 한국 국적 시니어기사가 진출하는 것이 확정되었고, P조는 중일전이 되었다.(위빈 선수는 중국 국적)

진출자O조서봉수(韓)
P조류시훈(日)

2.3. 월드조[편집]


6월 초 예선 대상자가 정해져 있지 않았다.(6월 10일 이후 공개될 듯하고)
예선 대상자는 신청자 4명을 제외하고 초청자의 국적별로...
- 유럽 4명
- 미주 4명
- 아시아(한중일+대만 제외) 3명
- 아프리카 1명
이다.
예선대진표가 생성되었다.


2.3.1. 1회전 : 7월 3일[편집]


Q조간솅시
(Gansheng Shi, CAN)
아르템 카차놉스키
(Artem Kachanovskyi, UKR)
알리 자바린
(Ali Jabarin, ISR)
파이샬 우마르 피트라
(Faishal Umar Fitrah, IDN)
창푸캉
(Chang Fu Kang, MYS)
마이크 윤솬 리
(Mike Yunxuan Li, USA)
마테오 나바 리베라
(Mateo Nava Rivera, MEX)[11]
리트 벤차리트
(Rit Bencharit[12], THA)
안토니우스 클라센
(Antonius Claasen, NLD)[13]
초우광
(Chow Guang[13], ZAF)
마테스 수르마
(Mateisz Surma, POL)
라이언 리
(Ryan Li, CAN)
베냐민 드레앙-게나지아
(Benjamin Drean-Guenarzia, FRA)[14]
산티아고 안드레스 타바레스
(Santiago Andres Tabares, ARG)
듀산 미티치
(Dusan Mitic, SRG)
아나스타샤 클레페티나
(Anastasia Khlepetina[15], RUS)[16]


2.3.2. 2회전 : 7월 4일[편집]


Q조아르템 카차놉스키
(Artem Kachanovskyi, UKR)
알리 자바린
(Ali Jabarin, ISR)
창푸캉
(Chang Fu Kang, MYS)
리트 벤차리트
(Rit Bencharit[13], THA)
초우광
(Chow Guang[13], ZAF)
라이언 리
(Ryan Li, CAN)
베냐민 드레앙-게나지아
(Benjamin Drean-Guenarzia[16], FRA)[17]
듀산 미티치
(Dusan Mitic, SRG)


2.3.3. 예선준결 : 7월 5일[편집]


Q조
알리 자바린
(Ali Jabarin, ISR)
창푸캉
(Chang Fu Kang, MYS)
라이언 리
(Ryan Li, CAN)
베냐민 드레앙-게나지아
(Benjamin Drean-Guenarzia[16], FRA)[17]


2.3.4. 예선결승[편집]


Q조
창푸캉
(Chang Fu Kang, MYS)
라이언 리
(Ryan Li, CAN)

진출자 / Q조창푸캉
(Chang Fu Kang, MYS)
말레이시아(MYS) 국적의 창푸캉(통칭 Kang)이 진출하였다.

2.4. 여자조[편집]



2.4.1. 1회전[편집]


유독 대진표상 1회전 비중이 많다(...).
R조와 S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지막에 위치해있는 조이다.
R조
탈락자이민진리허장혜령권효진(여)박지영박지연호시아이모로 아리사강지수마리야이단비김민정
진출자리신이김채영송혜령가오싱루민취안박태희이영주오유진루이나이웨이위즈잉판양이유진

S조
탈락자위리쥔바이신후이팡뤄시권주리양쯔쉔셰이민정연우조연우차오요우인쑹룽후이왕위보인취
진출자후지사와 리나김경은조혜연김신영오쿠다 아야김미리이다혜리샤오시김다영최정허서현김수진


2.4.2. 2회전[편집]


폭풍 축소의 맛
R조
리신이디아나 코세기김채영송혜령가오싱저우홍위루민취안박태희이영주도은교오유진루이나이웨이위즈잉조승아판양이유진
S조
후지사와 리나강다정김경은조혜연김신영오정아오쿠다 아야김미리이다혜우에노 아사미리샤오시김다영최정이도현허서현김수진


2.4.3. 3회전[편집]


R조
리신이김채영가오싱박태희이영주루이나이웨이위즈잉판양
S조
후지사와 리나조혜연오정아김미리우에노 아사미리샤오시최정김수진


2.4.4. 4회전[편집]


전체 조
김채영박태희이영주위즈잉후지사와 리나오정아리샤오시최정

2.4.5. 예선 결승[편집]


R조
박태희이영주
S조
오정아최정

본의아니게 여자기사 중에선 한국 국적 기사만 살아남았다.(와카 및 후원사 시드 같은 경우 제외)
R조 : 중견의 힘(?)
S조 : 화끈하고 매운 맛을 보여줄 것이다. 최정 : 비켜라, 너는 본선에 갈 량이 되지 못한다

진출자R조이영주(韓)
S조최정(韓)

2.5. 본선 진출 선수[편집]


일반(14명) : 한국 3 / 중국 11

- 한국 : 나현 / 신민준 / 윤성식 (아마)
- 중국 : 롄샤오 / 스웨 / 천야오예 / 양딩신 / 탄샤오 / 판윈뤄 / 타오신란 / 리쉬안하오 / 천쯔젠 / 우광야 / 리샹위

시니어(2명) : 한국 1 / 일본 1

- 한국 : 서봉수
- 일본 : 류시훈[17]

월드(1명) : 말레이시아 1

- 말레이시아 : 창푸 캉

여자(2명) : 한국 2

- 한국 : 이영주 / 최정

시드 (13명) : 한국 5 / 중국 5 / 일본 2 / 대만 1

- 전기 4강 : 구쯔하오 / 탕웨이싱 / 퉁멍청 / 안국현
- 한국 : 박정환 / 김지석 / 신진서 / 이세돌
- 중국 : 커제 / 셰얼하오
- 일본 : 이야마 유타 / 시바노 도라마루
- 대만 : 왕위안쥔 (후원사)



3. 본선[편집]



3.1. 32강[편집]


  • 날짜 : 2018년 9월 4일 ~ 6일
  • 장소 : 경기 고양 삼성화재 글로벌 캠퍼스

A조 : 시바노 도라마루 / 천야오예 / 박정환 / 구쯔하오
B조 : 최정 / 스웨 / 이세돌 / 타오신란
C조 : 안국현 / 천쯔젠 / 서봉수 / 퉁멍청
D조 : 왕위안쥔 / 커제 / 창푸캉 / 셰얼하오
E조 : 나현 / 판윈뤄 / 신민준 / 리쉬안하오
F조 : 김지석 / 롄샤오 / 이영주 / 양딩신
G조 : 윤성식 / 탄샤오 / 이야마 유타 / 탕웨이싱
H조 : 신진서 / 우광야 / 류시훈 / 리샹위


3.1.1. 1회전[편집]


대국구분결과다시보기 링크
A1국천야오예 九단시바노 도라마루 七단327수 끝 백 3집반승
2국구쯔하오 九단박정환 九단256수 끝 백불계승
B3국스웨 九단최 정 九단290수 끝 백불계승
4국타오신란 七단이세돌 九단231수 끝 흑불계승
C5국안국현 八단천쯔젠 六단327수 끝 흑불계승
6국퉁멍청 六단서봉수 九단131수 끝 흑불계승
D7국왕위안쥔 八단커 제 九단170수 끝 백불계승
8국셰얼하오 九단창푸캉 아마 5단189수 끝 흑불계승
E9국나 현 九단판윈뤄 六단222수 끝 백불계승
10국리쉬안하오 七단신민준 九단211수 끝 흑불계승
F11국롄샤오 九단김지석 九단219수 끝 흑불계승
12국이영주 三단양딩신 七단146수 끝 백불계승
G13국윤성식 아마 7단탄샤오 九단154수 끝 백불계승
14국탕웨이싱 九단이야마 유타 九단139수 끝 흑불계승
H15국우광야 七단신진서 九단222수 끝 백불계승
16국리샹위 五단류시훈 九단241수 끝 흑1집반승
2018년 9월 4일 11:00~

3.1.2. 2회전[편집]




3.1.2.1. 승자조[편집]

대국구분결과다시보기 링크
A1국박정환 九단시바노 도라마루 七단223수 끝 흑불계승
B2국타오신란 七단최 정 九단270수 끝 백불계승
C3국안국현 八단퉁멍청 六단129수 끝 흑불계승
D4국셰얼하오 九단커 제 九단235수 끝 백불계승
E5국판윈뤄 六단리쉬안하오 七단172수 끝 백불계승
F6국양딩신 七단롄샤오 九단203수 끝 흑불계승
G7국탄샤오 九단탕웨이싱 九단252수 끝 백불계승
H8국신진서 九단리샹위 五단215수 끝 흑불계승
2018년 9월 5일 11:00~


3.1.2.2. 패자조[편집]

대국구분결과다시보기 링크
A9국구쯔하오 九단천야오예 九단199수 끝 흑불계승
B10국스웨 九단이세돌 九단236수 끝 백불계승
C11국천쯔젠 六단서봉수 九단193수 끝 흑불계승
D12국왕위안쥔 八단창푸캉 아마 5단133수 끝 흑불계승
E13국신민준 六단나 현 九단302수 끝 흑반집승
F14국김지석 九단이영주 三단231수 끝 흑불계승
G15국윤성식 아마 7단이야마 유타 九단220수 끝 백불계승
H16국류시훈 九단우광야 六단203수 끝 흑불계승
2018년 9월 5일 11:00~

P.S. : 입단의 꿈도, 8강의 꿈은 커녕 16강의 꿈도 벅찼던, 아마의 분전

3.1.3. 3회전 (패자부활전)[편집]


대국구분결과다시보기 링크
A1국시바노 도라마루 七단구쯔하오 九단148수 백 불계승
B2국타오신란 七단이세돌 九단287수 흑 불계승
C3국천쯔젠 六단퉁멍청 六단240수 백 불계승
D4국커 제 九단왕위안쥔 八단251수 흑 1집반승
E5국신민준 九단판윈뤄 六단241수 흑 불계승
F6국롄샤오 九단김지석 九단297수 흑 1집반승
G7국이야마 유타 九단탄샤오 九단241수 흑 불계승
H8국리샹위 五단류시훈 九단263수 흑 1집반승
2018년 9월 6일 11:00~

3.1.4. 16강 진출 선수[편집]




3.2. 16강[편집]


  • 날짜 : 2018년 10월 1일
  • 장소 : 대전 삼성화재 유성 캠퍼스

대국구분결과다시보기 링크
1국신민준 九단퉁멍청 七단239수 끝 흑불계승
2국양딩신 七단안국현 八단273수 끝 백반집승
3국최 정 九단롄샤오 九단204수 끝 백불계승
4국이야마 유타 九단리쉬안하오 七단159수 끝 흑불계승
5국탕웨이싱 九단타오신란 七단193수 끝 흑불계승
6국신진서 九단리샹위 五단179수 끝 흑불계승
7국커 제 九단구쯔하오 九단336수 끝 흑반집승
8국박정환 九단셰얼하오 九단150수 끝 백불계승
2018년 10월 1일 11:00~

  • 진출자(대국번호순)
    • 한국: 신민준 九단, 신진서 九단, 안국현 八단
    • 중국: 롄샤오 九단, 탕웨이싱 九단, 커제 九단, 셰얼하오 九단
    • 일본 : 이야마 유타 九단
여담으로 이날 바둑TV 방송중계 중 최정 대국의 수순 진행이 도중에 멈추면서 진전이 하나도 되지 못하고 결국 예정에 없던 대국으로 넘어갈 수밖에 없었던 모양이다.(...)


3.3. 8강[편집]


  • 날짜 : 2018년 10월 2일
  • 장소 : 대전 삼성화재 유성 캠퍼스
대국구분결과다시보기 링크
1국커 제 九단신진서 九단203수 흑 불계승
2국신민준 九단탕웨이싱 九단272수 백 불계승
3국이야마 유타 九단셰얼하오 九단254수 백 불계승
4국안국현 八단롄샤오 九단255수 흑 불계승
2018년 10월 2일 11:00~

또다시 한국 선수는 혼자(...)심지어 안국현 입장에서 난적 밖에 없다(...)

3.4. 준결승[편집]


  • 날짜 : 2018년 11월 5일~
  • 장소 : 경기 고양 삼성화재 글로벌 캠퍼스
대국구분결과다시보기 링크
A1국셰얼하오커제176수 백 불계승
2국커제셰얼하오294수 백 1집반승
3국셰얼하오커제194수 백 불계승
B1국탕웨이싱안국현204수 백 불계승
2국안국현탕웨이싱285수 흑 불계승
2018년 11월 5일 11:00~

진출자비고
A커제셰얼하오에게 간단히 이기지 못했지만..
B안국현생애 첫 결승

A조는 백번무쌍이었던 데 비해, B조는 안국현을 올려보내는 탕웨이싱의 큰그림이?(하필 상대가 커제이므로..)안국현 : 아

3.5. 결승[편집]


  • 날짜 : 2018년 12월 3일~
  • 장소 : 경기 고양 일산 삼성화재 글로벌 캠퍼스
  • 중계 : KBS1 (오후 1시50분~ LIVE) 이소용 캐스터 / 박정상 9단 해설 // 바둑TV (오후 4시~ 지연생방) 배윤진 캐스터 / 송태곤 9단 해설 // K바둑(오후 4시~ 지연생방)
  • 우승자 : 커제 九단
대국구분결과다시보기 링크
1국커제안국현192수
백 불계승
2국안국현커제192수
백 불계승
3국안국현커제325수
백 5집 반 승
2018년 12월 3일 11:00~

1국에서는 초읽기 하나를 남길때 까지 시간을 썼으나 정확한 수읽기로 안국현 8단이 이겼고, 2국은 커제 9단이 안국현의 초반 전략을 정확히 대처하며 2국을 가져왔다. 3국은 치열한 접전으로 결국 패싸움까지 했는데 흑을 잡은 안국현이 그만 우상귀 패싸움에서 바꿔치기로 패를 해소하는 바람에 결국 커제에게 무릎을 꿇고 말았다. 지연 중계를 했던 바둑TV 송태곤 해설은 해프닝이라고 표현 할 정도로 안국현 입장에서는 매우 아쉬운 경기가 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3:51:45에 나무위키 제23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일반조 한정으로 전반조는 7월 3일 개시. 후반조는 7월 4일 개시[2] 우바이이로 바뀌었다[3] 뒷이름이 짤렸다. 이른바 츠지시게 히(...)[4] 한국기원 홈페이지상으론 2단(二段)으로 되어있지만, 대진표상으로는 3단(三段)이다(...)[5] 7월 3일 대국으로 결정남.[6] 일반조 한정으로 전반조는 7월 3일 개시. 후반조는 7월 4일 개시[7] 이전 표기는 우포이[8] 짤려있다[9] A B 대진표에 있는 마지막 글자가 흐릿해 보이는 관계로 임시로 표기[10] 꿈나무 우승자. 꿈나무 대진(결과 포함)은 짤방으로 대신하자.[11] 예선 신청자 2[12] 대문자로 표기되어 있다[13] A B C D 예선 신청자 3[14] 예선 신청자 4[15] i인지 l인지 불분명하다[16] A B C 예선 신청자 1[17] A B [17] 한국인이지만 일본기원에서 활동 중